전남대병원, 돌발성 난청 환자 8년간 분석한 결과
[쿠키 건강] 특별한 원인 없이 소리가 들리지 않는 ‘돌발성 난청’이 50~60대에 많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남대병원은 이비인후과에서 지난 8년간(2003년~2010년) 돌발성 난청으로 치료받은 환자 986명을 분석한 결과 50대~60대 환자가 466명으로 전체 환자의 47.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스트레스 많은 청장년층(20대~40대) 환자도 381명으로 38.6%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대가 240명(24.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60대 226명(22.9%), 40대 174명(17.6%), 30대 115명(11.7%), 20대 92명(9.3%) 등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남자환자가 516명(52.3%)으로 여자 환자 470명(47.7%)보다 많았다.
또한 연도별로 내원한 환자를 분석해보면‘돌발성 난청’으로 내원한 환자의 수는 2003년에 64명, 2007년 138명, 2010년은 169명으로 꾸준히 늘어 2003년 대비 2.6배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에 따르면 이미 의료선진국에서는 응급질환으로 규정하고 있는 ‘돌발성 난청’은 갑자기 귀가 울리면서 소리가 들리지 않거나 잠자리에 들기 전과 일어난 후 청력에 차이가 있을 때, 혹은 양쪽 귀로 번갈아 통화할 때 소리에 차이가 있다고 느껴지는 등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자마자 신속히 치료를 받아야만 정상청력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전남대병원 이비인후과 조형호 교수는 “돌발성 난청은 발병 1주일 이내에 병원을 찾은 사람은 70% 정도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나, 늦게 치료를 시작하면 회복률이 낮아 조기발견과 조기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조 교수는 “인체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혈류의 흐름에 장애가 생겨 달팽이관의 청각세포가 손상될 수 있다”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무직 노동자 등은 가급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각종 모임시 과다한 음주와 흡연을 피하면서 휴식을 통해 귀 건강을 지키는 것이 돌발성난청을 예방하는 길이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