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성 난청
소음성 난청이란
소음성 난청은 문자 그대로 소음으로 인해 귀가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심 속 현대인들의 귀는 항상 피곤하다. 예민해진 귀가 강한 소음에 노출되면 소음성 난청에 걸릴 확률이 아주 높다. 소음이 너무 컸거나 장기간 들어서 청각세포가 회복되지 않을 정도로 손상이 되면 귀가 일시적으로 잘 안 들리는 것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난청이 되는데 이를 소음성 난청이라고 한다.
소음과 노령화는 현대사회에서 비가역적 청력손실의 주원인으로 손꼽힌다. 소음성 난청과 노인성 난청, 둘 다 치유되지 않는 질환인 것은 같으나, 소음성 난청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
소음은 괴롭고 원치 않는 큰 소리로 정의되며, 현대사회에서 공장기계, 총기, 자동차, 증폭된 음악, 광고방송 등 생활 주변에 산재해 있다. 과거에는 공장 등의 산업체 근로자, 군인 등 특정인들만이 위험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요즈음에는 도시화, 상업화, 레저문화의 발달로 성별, 연령,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소음성 난청에 포함될 수 있다.
문헌에 따르면, 전 인구의 약 1.7%가 소음성 난청에 의한 장애를 갖고 있다, 소음이 85dB이상의 작업장은 전체 작업장의 34%이며, 노동인구의 25%가 유해한 작업장 소음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수 있다.
소음성 난청 특징
소음성 난청의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과 함께 귀 검사 및 청력검사를 받은 결과가 있어야 한다. 또한 난청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족력, 이독성 약물, 두부외상 등의 원인을 조사하고 외이, 중이 및 소음성 난청에 의한 청력변동은 총기류나 폭발 등에 의한 난청을 제외하면 대개 양측 귀의 차이가 15dB 이내이므로 양쪽의 청력이 비대칭인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의심해야 한다.
소음성 난청이 경우 특징은 청력도가 양측이 비슷하고 처음에는 3~6KHz에서 시작하여 점차로 주변 주파수로 진행되며, 대부분의 경우 저주파수에서 40dB, 고주파수에서 70dB를 초과하지 않으며, 청력 손실 정도는 기간이 길수록 진행속도가 느려진다. 또한 소음노출 후 10~15년이 지나면 최대 청력손실에 달한다.
소음성 난청의 진단 시에는 항상 노인성 난청에 의한 청력손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염두에 두어야한다. 소음성 난청은 소음에 노출된 후 급격히 일어나고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는 감속과정을 밟는 반면, 노인성 난청이 처음에는 서서히 증가되다가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증가된느 가속과정을 밟는다.
또한 소음성 난청은 개인의 감수성 차이로 인해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데, 90dB 소음에서 40시간 정도 노출되면 전체 인구의 85%는 안전하지만 15%는 청력손실이 발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