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낙보청기 목포점

보청기 상담, 난청 , 이명

카테고리 없음

우리아이 청력은 정상?

soriman 2010. 4. 12. 18:34

 

유소아 청력장애

 

  

 

 

 

 

 

 

 

 

 

 

  유소아 난청은 언어 및 지능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따라서 사회적응에 절대적입니다.
유소아 난청, 특히 청력회복이 불가능한 감각신경성난청의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보청기등을 이용한 청각재활 및 언어치료를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난청이 의심되면 조속히 의사와 상의하셔야 하며, 특히 난청 고위험군에 속하는 유소아는 조기선별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 유소아 난청을 의심할 수 있나요? (난청 고위험군)

 

  - 가족이나 친척 중에 청력장애의 병력이 있을 때
  - 엄마가 임신 중에 감기를 앓았거나 약물을 복용한 덕이 있을 때, 난산 또는 분만시간이 오래 걸렸을 때
  - 미숙아나 저체중아로 출생했거나 황달과 같은 신체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 출생시 몸의 다른 부위에 기형이 발견되었을 때
  - 출생 후 뇌막염이나 성홍열에 걸린 적이 있을 때
  - 아이가 만성중이염을 앓았거나 만성 알레르기성 상기도 증상이 있을 때

 

다음은 아이의 청력을 집에서 간단히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항 상

반수에서

가끔씩

전 혀

0 점

1 점

2 점

3 점

 

 

<1세 미만의 영아인 경우 >

 1. 아이근처에서 큰 소리를 내면 움찔거리거나 심지어 울기도 한다.
 2. 큰 소리에 아기가 잠에서 깬다.
 3. 아기를 안지 않아도 부모의 목소리를 들으면 편안해 한다.
 4. 부모의 목소리가 나는 쪽으로 눈이나 머리를 돌린다.
 5. 소리를 흉내 낸다.

<1세에서 3세까지>
 1. 친밀한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키라고 하면 할 줄 안다.
 2. 한번 부를 때 반응한다.
 3. 말을 흉내 낼 줄 안다.(18개월 이상에서는 몇 단어를 사용할 수 있다.)
 4. 같은 연령의 아이와 비슷한 언어를 구사한다.
 5. TV를 평소에 작게 듣는다.


<결과 판정>

# 0-5점 : 청력장애의 저위험군으로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음.
# 6-12점 : 혹시 있을지 모르는 아이의 청력장애를 주치의와 상의할 것.

# 13점 이상 : 청력장애가 강력히 의심되므로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의할 것

 

청력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소아도 청력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신생아의 청력측정도 가능합니다. 또한 병력 만으로도 신생아 청력장애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만약 당신의 자녀가 앞서 말씀드린 난청 고위험군에 해당된다면 가능하면 빨리 청력검사를 하십시오. 특히 3개월이 넘지 않도록 하십시오. 

  모든 학동전 아이는 입학하기 전에 청력검사를 시행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경도의 난청이 있는 경우에는 부모나 본인이 이를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청력검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한쪽 귀에만 경도의 난청이 있어도 발성과 언어학습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학동전에 흔하게 오는 귀지나 삼출성 중이염에 의한 전음성 난청은 귀지를 제거하고 약물치료나 간단한 수술 방법으로 청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같이 일시적인 것과는 달리 청신경 손상에 의한 영구적 청력장애를 보이는 소아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대부분의 청력장애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조기진단, 보청기 조기 착용 및 특수 교육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청력을 가능한 최대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대처하십시오.

  

  아이의 청력장애를 두려워하거나 감추려고 하지 마십시오. 그것은 내 아이에게 남아있는 재활의 가능성을 꺽는 일입니다. 일단 닌청이 의심이 가면 우선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발췌 : http://yonsei.doctorangel.co.kr/contents6-Ear3.htm
 
//